ERD 2

[DB, ERD]ERDCloud 사용법

ERDCloud 사용법 ERD Cloud는 무료 ERD툴이라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서 사용할 일이 많습니다. 저도 학생으로서 ERDCloud를 사용하면서 배운 점들을 리뷰해보겠습니다! 1. 기본 세팅 ERD생성 팀 ERD와 개인ERD중에 하나를 선택한다 팀 ERD에서는 사람들을 초대해 실시간으로 같이 작업을 할 수 있다. 물리, 논리 구조 및 세팅 왼쪽 네비게이션 바 밑에를 보면 L/P, L, P가 보이는데 각각 Logic(논리), Physics(물리)의 약자다 Database의 물리, 논리명이 궁금하다면 구글링을 해보도록 하자 실제 Database에 저장되는 내용은 물리명이다 오른쪽 위 프로필 사진 왼쪽 톱니바퀴를 누르면 설정 창이 나오고 여기서 설정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분의 기본값도 체크해서..

Quick DBD 리뷰, 사용법

현재 참여중인 활동에서 ERD가 필요하여 Quick DBD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다른 블로그들에서 특징 같은 것을 잘 설명해두어서 사용법 위주로 간단한 리뷰를 작성해 보려 한다. ERD 나처럼 DB초보자를 위한 글이니 ERD를 잘 모를 수도 있을 것 같아서 정의를 추가해보자면 "구조"화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쓴다. 이 데이터의 "구조" 및 그에 수반한 제약 조건들은 다양한 기법에 의해 설계될 수 있다. 그 기법 중 하나가 개체-관계 모델링(Entity-Relationship Modelling)이다. 줄여서 ERM이라고 한다. ERM 프로세스의 산출물을 가리켜 개체-관계 다이어그램(Entity-Relationship Diagram)이라 한다. 줄여서 ERD라 일컫는다. 위키백과를 참고했다...